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공간인 운반기(파레트)가 상하로 2층으로 배치되어있고, `1층의 모든 주차구획을 출입구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운반기를 아래·위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여 자동차를 입·출고하는 방식이다 |
 | |
주차기 형태에 따른 분류 |
 |
(1) 단순승강식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운반기는 상단에 1개 뿐이며 하단에는 지상 바닥에 자동 차를 주차시키는 방식으로서 운반기는 단순히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하단의 주차구획 이 비어 있어야만 상단의 입·출고가 되는 단점 이 있어 불편이 따르는 주차기이다. | |
 |
(2) 경사승강식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운반기가 경사지게 상단에 1개 있으며 유압장치에 의해 운반기를 작동시켜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방식 으로 단순승강식과 같이 하단에는 지상 바닥에 자동차를 주차시키게 되므로 하단의 주차구획 이 비어 있어야만 상단의 입·출고가 되는 단점 이 있어 불편이 따르는 주차기이다. | |
 |
(3) 경사승강 스윙식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운반 기는 상단에 1개 있으며 운반기는 수평상태로 상하 스윙되어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방식이다. 하단의 지상 바닥에 자동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상단 자동차의 입·출고가 가능한 방식이다. | |
 |
(4) 경사피트식 상단과 하단에 2개의 운반기(파 레트)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하단 운반기는 지하 피트부에 주차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운반기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자동차를 입·출고 시키는 방식이다. | |
(5) 승강피트식 단순승강식과 같은 형태이나 승강피트식에는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공간인 운반기가 상하로 2개가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 운반기는 지하 피트부에 주차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운반기를 동시에 상하 작동시켜서 자동차를 입·출고 하는 방식이다. |
 |
(6) 승강횡행식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운반기(파레트)가 상·하단에 다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단의 운반기는 승하강 동작만 하고, 하단의 운반기는 횡행이동만 하여 두 동작의 조합으로 자동차를 입·출고 시키는 방식이다. 상단의 자동차를 입·출고 시키고자 할 경우 하단의 운반기를 횡행 이동 시켜 하단에 빈 공간을 확보한 후 상단의 운반기가 하강하여 입·출고가 이루어지므로 2단식 중 가장 편리한 방식이고 보편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는 주차기이다. |
 |
(7) 승강횡행 피트식 자동차의 입·출고 방식은 승강횡행식과 같으며, 하단 운반기(파레트)는 지하 피트부에 주차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주차기 이다. |
 |
장단점 및 적용 건물 |
주차기 종류 |
장점 |
단 점 |
적용건물 |
단순승강기 경사승강기 |
① 가격이 저렴 |
① 사용이 불편 |
①소형 건물 |
경사승강스윙 |
① 가격이 저렴 |
①공간 효율성이 낮다. |
①소형 건물 |
경사피트식 |
① 주차공간의 건물층고가 낮다. |
①경사상태 입출고 불편 ②피트에 추락사고 발생 |
①소형 건물 |
승강피트식 |
① 주차공간의 건물층고가 낮다. |
①피트 작업이 필요 |
①소규모 건물 |
승강횡행식 승강횡행피트식 |
① 2~3열 연립,중열배치시 공간효율증대 ② 입·출고가 용이하며신속하다. |
①피트 작업이 필요 |
① 모든 건물에적용 가능 | |
|